준비 중입니다.
NEW
HAY
AAC22 체어,오크, 그레이
430,000
SOLD OUT
Chilewich
T매트M바스켓위브36x48_콘페티
29,000
Alessi
라쿠폴라 에스프레소 커피메이커_6C_블랙 A9095/6 B
200,000
Rosendahl Timepieces
AJ 뱅커스 테이블 시계_화이트
177,000
#2023년 2월호
#라이프스타일
#여행
뉴욕 트라이베카의 비밀스러운 안..
현관문에서 로프트로 들어가는 복도. 스윙 도어를 달아 완전히 열어젖힐 수 있는 것이..
#공간#인테리어 #2023년 2월호#ISSUE275#월드
강을 닮은 주거 내면으로 함께하는..
세밀하게 제작한 칸살 도어는 공간의 개방감은 물론 드리우는 그림자의 변주를 만들어..
#공간#인테리어 #2023년 2월호#ISSUE275#라이프스타일
건축가 유동룡, 삶의 궤적 바람의 ..
유동룡의 40여 년 건축 및 예술 작품과 그의 오리지널리티를 만날 수 있는 유동룡미술..
#라이프#전시 #2023년 2월호#ISSUE275#유동룡 미술관
BUY
유리를 마주하는 새로운 방법 베르베르 송가섭, 오세휘 디자이너 베르베르의 송가섭, 오세휘 디자이너 듀오가 선보이는 가구는 유리라는 소재에 대한 통념을 깬다. 다중 접합 유리 기술을 적용해 튼튼하면서도 독창적인 미감으로 하나의 ‘아트 피스’ 같은 존재감을 발산한다.
#공간 #디자이너 #2023년 2월호#ISSUE275#가구
2022 홈·테이블데코페어에서 만난 리빙 트렌드, ‘풀티’가 제안하는 선순환의 가치 지금 가장 주목받는 리빙 트렌드를 엿볼 수 있었던 2022 홈·테이블데코페어. 프리미엄 가구 리세일 플랫폼 ‘풀티’는 지속 가능한 리빙과 자원의 선순환이라는 메시지를 공유하며 관람객들과 소통했다.
#라이프 #전시 #2023년1월호#ISSUE274#풀티
한층 더 진화한 그로서리 큐레이션 팬데믹으로 인해 홈밥, 홈술에 관심이 모이면서 와인, 치즈, 향신료 등 다양한 식자재를 판매하는 그로서리가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었다.
#라이프 #트렌드 #2023년1월호#ISSUE274#공간
먹고 마시고, 향유하는 패션 이제 패션은 단순히 몸에 걸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감을 자극하는 초현실적 공간 컴퓨터, 휴대전화,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이를 누리며 성장한 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10 년 출생), 알파세대(2010년 이후 출생)가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 소비하는 주체로 떠올랐다.
이름마저 다양한 Y2K, 뉴트로, 레트로 트렌드 2022년부터 패션계를 중심으로 Y2K(Year to 2000)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공간을 지탱하는 본질 트렌디한 상업 공간을 선보여온 코발트 스튜디오와의 인터뷰에 앞서 발랄하고 기발한 아이디어가 오갈 것을 예상했다. 하지만 오히려 그들이 이야기하고자 한 것은 지속 가능성, 로컬리티부터 내구성, 상업 공간에 대한 원론적인 이야기였다. 눈에 보이는 화려한 장식보다 묵직한 본질에 집중하는 코발트 스튜디오를 만났다.
#공간 #디자이너 #2023년1월호#ISSUE274#WWDD
성수동 리빙&라이프스타일 숍 투어 지금 여기, 연무장길 2 서울에서 가장 트렌디하고 역동적인 동네로 손꼽히는 성수동. 그중에서도 뚝섬역과 성수역을 잇는 연무장길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변화가 심상치 않다. 팝업 스토어의 성지이자 글로벌 브랜드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새로운 콘텐츠가 끊임없이 흐르고 있다. 골목길로 눈을 돌리면 힙하고 매력적인 로컬 숍이 속속 나타나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성수잘알’이 되고 싶다면, 연무장길부터 탐방할 것! 에디터가 엄선한 핫&히든 플레이스로 발걸음을 성큼 옮겨보자.
#라이프 #리빙숍 #2023년1월호#ISSUE274#성수동
취향을 애호하는 마음으로부터, 오어스 이주영 디자이너 홈 퍼니싱 브랜드 오어스(OWUS) 이주영 대표는 일상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수납 가구를 선보인다. 우리의 삶은 이미 아름답기 때문에 생활의 흔적을 감추기보다는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자는 신념 아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공간 #디자이너 #2023년1월호#ISSUE274#오어스
루이 비통의 복합 문화 공간, LV 드림 다양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문화예술 영역으로 브랜드의 영향력을 확장해온 루이 비통.
#라이프 #카페&다이닝 #2023년1월호#ISSUE274#루이비통
자연적 감각의 추구, 깊어지는 오감의 세계 자연에 대한 인간의 본능적인 사랑과 유대감을 뜻하는 바이오필리아(Biophilia). 여기서 파생된 파이오필릭 인테리어는 나무, 돌, 빛 등의 요소를 활용하고, 자연의 질감과 패턴을 극대화한 인테리어를 뜻한다. 플랜테리어나 소프트 퍼니싱과 함께 공간에 자연을 끌어들이는 현상은 친환경 이슈와 맞물려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원재료에 가공을 최소화한, 자연 그대로의 질감을 내세운 마감법을 선호하는 추세가 이어진다. 지속 가능한 삶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는 만큼 재활용 소재에 관한 주목도 더없이 높다.
#라이프 #트렌드 #2023년1월호#ISSUE274#웰니스
처음 만나는 프리미엄 바닥재, 파나제 프랑스의 최고급 원목마루 브랜드 파나제(PANAGET)가 국내에 론칭했다. 탁월한 미감과 제품력으로 차원이 다른 공간을 완성하는 명가의 헤리티지를 직접 확인할 시간.
#공간 #인테리어 #2023년1월호#ISSUE274#파나제
일상을 다듬는 유용하고 쓸모 있는 제안 어떤 일을 도모할 때 가장 필요한 존재는 목표와 지향점이 같은 동료라는 명제를 깨닫게 해준 디자인 듀오가 여기에 있다. 가구와 공간, 아트, 프로덕트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들며 전방위에서 활약하는 세 팀을 만났다.
#공간 #디자이너 #2022년 12월호#ISSUE273#K디자인#국내디자이너
사용자와 공간의 맥락을 살피는 섬세함 어떤 일을 도모할 때 가장 필요한 존재는 목표와 지향점이 같은 동료라는 명제를 깨닫게 해준 디자인 듀오가 여기에 있다. 가구와 공간, 아트, 프로덕트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들며 전방위에서 활약하는 세 팀을 만났다.
공간, 그 가능성의 탐구② 새로운 시선과 차별화된 감각으로 무장한 ‘요즘’ 공간 디자이너들은 공통적으로 공간을 통해 경험이 더 깊어지고, 그럼으로써 삶과 공간이 연결되기를 바란다. 오늘날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은 그들에게 동시대적 공간을 구현하는 재료다. 시각적 요소 그 너머에 담긴 탐구와 성취를 들여다보자.
#공간 #건축 #2022년 12월호#ISSUE273#K디자인#국내디자이너
안으로 차오르는 디자인 한 번 경험한 이후에는 ‘옛것’이 되어버리는 시대. 공간 디자인 또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들 수밖에. 그 최전방에 있는 라라디자인컴퍼니 조미연 디렉터에게 트렌드와 영감에 관해 물었다. 그녀의 디자인은 단순 개인의 감각에 의존하기보다는 오히려 많은 것을 보고, 읽고, 관계 맺는 것에 기인하고 있었다.
#공간 #디자이너 #2022년 12월호#ISSUE273#라라디자인#WWDD
이함캠퍼스 창조에 맞닿은 비움과 채움 활짝 열고 절묘하게 엮고 유연하게 잇는다. 이함캠퍼스는 문화와 예술, 자연과 건축,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가능성과 생명력을 품는다. 감상을 넘어 창조에 맞닿은 경험은 우리가 더욱 넓은 지평을 향하도록 이끈다.
#라이프 #전시 #2022년 11월호#ISSUE272#갤러리
Session 7. 플러스에이티투+82 가장 한국적인 시선으로, 시작하는 브랜드를 위한 5가지 관점
#라이프 #전시 #2022년11월호#ISSUE272#디자인살롱서울
Session 5. 체크인플리즈스튜디오 취향이 존중되는 공간
Session 3. 더퍼스트펭귄 통합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Session 2. 무신사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 오프라인에 주목하는 이유
더 나은 삶을 위한 한 조각 루프 카페 루프는 막연하게 ‘건강한’ 빵이 아니라 정직한 영양 성분으로 꽉 채운 제품을 선보인다. 차분하고 정제된 공간에서 즐기는 비건 브레드.
#푸드 #카페&다이닝 #2022년 10월호#ISSUE271#채식
작은 정원에서 즐기는 우아한 만찬 뱅글 성수동의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뱅글은 찾아갈 수밖에 없게 만드는 매력적인 요소가 가득하다. 컨템퍼러리 한식 파인 다이닝 밍글스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공간인 데다가 내추럴 와인 수입사 뱅브로의 섬세한 큐레이션을 곁들여 폭넓은 와인 셀렉션을 선보인다.
#푸드 #와인/주류 #2022년 10월호#ISSUE271#내추럴와인
즐겁고 유쾌한 와인 경험의 확장 위키드와이프 쉽고 친숙한 방식으로 와인과 음식의 페어링을 제안하는 위키드와이프는 와인 애호가 사이에서 이미 입소문이 난 곳이다. 올봄 공간을 확장해 문을 연 이곳은 ‘성수동 코펜하겐’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다시 한번 핫 플레이스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중이다.
성수동 편집숍 좋은 편집숍은 주인의 취향을 보여줄 뿐 아니라 그들이 새로이 배우고 확장해가는 세계를 소개함으로써 끊임없이 영감을 전한다. 영혼을 충만하게 채워주는 성수동의 아름다운 편집숍들.
#라이프 #ACC #2022년 10월호#ISSUE271#편집숍
시간의 흐름을 간직하다 어니언 성수 어니언은 성수동 변화의 시작과 함께한 공간이다. 지역의 역사를 밀도 있게 담아낸 카페는 우후죽순 생겨나는 인더스트리얼 스타일 카페 사이에서도 여전한 상징성을 갖는다.
#라이프 #트렌드 #2022년 10월호#ISSUE271#성수동
이야기를 담은 여정 LCDC SEOUL LCDC SEOUL은 공업의 미학에 현대적 감성을 덧입혀 새로운 시퀀스를 만들어낸다. 브랜드들이 가진 여러 이야기는 다양한 이미지와 중첩되어 감도 높은 공간을 완성한다.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공간, 다이브인 성수 몰입형 아트 플랫폼 다이브인이 연남, 인사동에 이어 성수에 세 번째 공간을 선보였다. 다이브인 성수의 갤러리, 아트숍, 카페, 와인 바 등은 경계 없이 한데 어우러진다.
#라이프 #트렌드 #2022년 10월호#ISSUE271
일상 속 작은 변화의 시작점 서스테이너블 해빗 서울숲 서스테이너블 해빗 서울숲은 지속 가능성을 토대로 ‘제로 웨이스트 일상’을 손쉽게 경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다채로운 전시와 워크숍, 캠페인 등을 전개하며 친환경을 향한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라이프 #리빙숍 #2022년 10월호#ISSUE271#제로 웨이스트
아프리카 여성을 위한 아름다운 움직임 펜두카 나미비아 여성의 손자수 제품을 소개하는 펜두카는 생산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공정 무역의 가치를 전한다. 단순히 지역 공동체를 돕는 것에서 나아가 합리적인 경제 구조를 정착시킴으로써 지역 공동체의 경제적 자립을 이끈다.
#라이프 #리빙숍 #2022년 10월호#ISSUE271#지속가능성
예술로 더욱 빛나는 둘레길 런던, 더 라인 분주한 도시를 오가다가 만나는 아트워크는 반짝이는 휴식의 순간을 선사한다. 뉴욕, 파리, 낭트, 런던 각각의 도시 분위기에 절묘하게 어우러진 아트워크 스폿들을 소개한다.
#공간 #건축 #2022년 9월호#ISSUE270#아트
역사가 머무는 문화예술 플랫폼 보안1942 오랜 역사를 품은 보안여관이 동시대 문화예술을 꽃피우는 보안1942로 거듭났다. 시간적, 공간적 레이어를 배경으로 한 예술의 장은 건축의 마땅한 역할을 곱씹게 한다.
#공간 #건축 #2022년 9월호#ISSUE270#갤러리
스펙트럼을 확장하다 프롬프트 프로젝트 라틴어 ‘Promptus’에서 출발해 감추어져 있던 것들을 빛으로 이끌어 세상에 드러내자는 의미를 담은 프롬프트 프로젝트. 공간은 예술의 가치와 이를 다루는 창작가들을 모색하는 태도를 함의한다.
살아 움직이는 시적 공간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건축계의 시인’이라 불리는 알바로 시자가 설계한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건축물이 곧 또 다른 예술 작품임을 느끼게 한다. 그 어떠한 장식물도 없는 백색의 공간에 자연광을 끌어들여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의 향연을 감상할 수 있다.
컬렉터블 퍼니처를 향한 집념, 라바우언 서영완, 정윤조 디자이너 라바우언의 서영완, 정윤조 디자이너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로프라는 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가구를 선보인다. 개성 있는 생김새와 다채로운 컬러 스펙트럼으로 사용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준다.
#아이템 #가구 #2022년 9월호#ISSUE270#라바우언
공간에 대한 기억을 감각으로 재구성한 추상회화 이달 <까사리빙>의 표지는 아트 테마의 특집호를 기념하며, 국제갤러리의 소속 작가 중 최연소이자 MZ세대 스타 작가 이희준의 작품과 함께했다. 공간의 기억을 색과 도형으로 재구성한 독특한 작품 세계를 만나보자.
#아이템 #작가 #2022년 9월호#ISSUE270#이희준
북유럽 가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현주소 3데이즈 오브 디자인 2022 2014년에 시작해 올해로 9회를 맞이한 덴마크 디자인 페어 '3데이즈 오브 디자인(3days of design Copenhagen) 2022'. 한층 커진 규모와 화제성으로 주목받은 이번 페어에서 북유럽 가구 브랜드의 최신 이슈를 엄선했다.
#라이프 #트렌드 #2022년 8월호#ISSUE269#브랜드
60주년 맞은 살로네 델 모빌레, 새로운 미래를 위한 환대1 밀라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구 박람회가 비로소 완전해졌다. 전시장 피에라 밀라노에서 2175개의 출품 업체와 600명의 젊은 디자이너가 자신의 디자인 세계를 펼쳐낸 것. 지난 6월 7일부터 열린 6일간의 디자인 축제는 밀라노를 코로나 이전의 시기로 되돌린 듯 도시 전체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라이프 #전시 #2022년 8월호#ISSUE269#살로네델모빌레
2022 더 메종 리뷰, 더 나은 삶을 위한 공간 인테리어 트렌드 제시 국내 첫 공간 전시이자 프리미엄 홈 스타일링 전시인 ‘2022 더 메종(THE MASION)’이 지난 6월 2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다. 공간을 수놓는 수준 높은 오브제와 가구, 이를 적용할 공간에 대한 인사이트와 최신 트렌드 등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어 전시 내내 많은 이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라이프 #전시 #2022년 8월호#ISSUE269#더메종
일상에 들인 건축적인 가구 아르케 퍼니처 오창헌 디자이너 아르케 퍼니처의 오창헌 디자이너가 지향하는 건축적인 가구는 집과 상업 공간의 경계를 허문다. 철재를 기반으로 제작해 구조적으로는 안정성이 빼어나면서도 미소를 머금게 하는 매력적인 실루엣으로 공간에 좋은 인상을 부여한다.
#공간 #디자이너 #2022년 8월호#ISSUE269#국내디자이너
{BrandETitle}
{ProductName}
{ProductOptionText}
{ShowProductPrice}원수량 : {ProductUnit}